'제2원자력연구원' 유치 연계 추진
지난 2014년 8월25일 원해연 유치를 위한 경주유치위원회 출범식 후 기념촬영 장면.(사진제공=경주시)
[헤럴드 대구경북=은윤수 기자]경북 경주시가 당초 계획과는 달리 장기간 표류하고 있는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원해연) 유치를 위해 정부 방침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막바지 유치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14년 8월 유치위원회를 출범시킨 경주시는 그동안 공감대 확산을 위해 각종 설명회와 결의대회를 개최하면서 경주가 원해연 최적지임을 홍보해 왔다.
시는 지난해 정부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포항시, 대구시를 비롯한 여러 기관단체들과 관·학·연 협력 MOU를 체결하는 등 광역단위 유치활동을 전개했다.
특히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완성을 위해서도 원해연 유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고 경북도와 함께 다양한 유치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경북도와 공동으로 원해연 부지선정이 확정될 때까지 정부 및 정치권에 경주유치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촉구하면서 현재 계획 중인 제2원자력과학단지 유치 노력도 병행할 방침이다.
원전해체센터는 사용이 끝난 원자력시설을 안전하게 철거해 부지를 원래의 자연 상태로 되돌리는데 필요한 기술을 확보키 위한 연구시설로 미래부가 오는 2019년 12월까지 1473억원을 들여 추진하는 국책사업이다.
경주시는 원해연을 반드시 유치해 원자력 산업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원전해체산업에 진출할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인선 전 경북도 경제부지사(사진 오른쪽)가 지난해 6월2일 경주하이코에서 열린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포럼에서 원해연 경주유치를 염원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사진제공=경주시)
▲원해연 유치활동 광폭 전개
시는 글로벌 원자력산업 메카도시로의 도약과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원해연 유치에 뛰어 들어 원해연 유치로 원자력산업·연구·교육 등 관련시설 집적에 따른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2014년 8월 유치위원회를 출범한 후 경주시민 유치 공감대 조성, 대경권 공감대 확산과 유치동력 확보, 유치 분위기 지속 확산과 중앙 여론 조성 등 3단계로 나눠 체계적으로 유치활동을 추진해 왔다.
2014년 말까지는 시민들의 공감대 확산을 위해 각종 설명회, 서명운동전개, 결의대회 등으로 시민들을 결집시키면서 경북도와 정부에 경주시의 원해연 유치의견을 전달했다.
지난해에는 정부의 방침을 주시하면서 포항시와 협력 MOU, 18개 관·학·연 협력 MOU 등 광역단위 유치동력 확보에 중점을 두고 활동을 벌였다.
또한 지난해 7월에는 대구시, 경북도, 경주시 간 원해연 공동유치 MOU를 체결한데 이어 9월에는 대구·경북 에너지산업 활성화를 위한 컨퍼런스를 대구에서 개최하기도 했다.
유치활동 가운데 유치위원회가 출범한 지 3개월도 안돼 시민 27만명 중 22만명의 지지서명을 받아 미래부, 산업부, 국회 등 주관부처에 전달하면서 시민들의 강력한 유치의지를 대내·외에 알리기도 했다.
특히 해체연구는 물론 차세대 원자력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해 온 시는 원해연 유치 초반부터 100만평 이상의 인구저밀도 임해지역 부지 제공을 선제적으로 제시키도 했다.
시는 향후 유치활동을 국가핵심 원자력 연구시설인 '제2원자력연구원' 유치와 연계해 추진키로 하는 등 유치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미래부가 추진하는 제2원자력연구원은 100만평 이상 규모의 원전 인접 및 인구저밀도, 임해지역 등의 조건을 충족하는 부지에 약 9조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지난 2011년부터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핵심 사업으로 유치를 추진 중에 있다.
경주시의회 의원들이 지난 2014년 10월21일 원해연 경주유치를 위한 결의문을 채택하고 있다.(사진제공=경주시의회)
▲원해연 경주유치 당위성
경주는 원전과 방폐장이 있는 국내원전의 중심지이자 전국 최대의 원전 집적지이다.
국내 원전의 50%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경주에는 현재 6기의 원전이 가동 중에 있다.
특히 경주는 원자력해체 필수기관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방폐장)이 유치돼 원자력 해체시장이 요구하는 조건을 선점하고 있다. 또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등 원전 관련 첨단과학 연구 인프라가 조성돼 있는 곳이기도 하다.
국가 기간산업인 원자력 산업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온 지역임과 동시에 산·학·연·관 협력체계가 잘 구축돼 있으며 향후 원자력 해체산업의 확장성과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 가정 적합한 지역이 경주이다.
동시에 원전과 방폐장이 함께 하고 있어 방사선의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돼 있으면서도 산업 및 연구기관이 전무하다.
또한 지역불균형 해소와 전 국민의 원자력 안전에 대한 신뢰 확보를 위해서라도 경주에 원해연이 반드시 건립돼야 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지난 2014년 12월23일 최양식 경주시장을 비롯한 원해연경주유치단이 시민 22만명으로부터 받은 지지서명지를 정수성 국회의원에게 전달하고 있다.(사진제공=경주시)
▲선진국의 사례
선진국의 경우 원자력 관련 시설을 집적해 원자력 산업과 지역 발전을 동시에 도모하는 클러스터 개념을 도입하는 추세이다.
모범사례로 평가받는 영국의 경우 지난 2009년부터 국가 비전사업으로서 오래된 원전 집적지인 컴브리아 지역에 에너지 산업 단지인 '영국 에너지 코스트(Britain’s Energy Coast)'를 조성했다.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 속에 국가원자력연구원 시설을 도입하고 지역 대학교와 기업 협력 구조를 통해 원자력 해체기술을 확보하는 등 세계적인 첨단 원전산업 연구 허브로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고 있다.
특히 오랜 원전 역사의 유산인 수명을 다한 원전 해체 관련 분야를 미래 원자력 수출산업으로 보고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다.
영국 해체청(Nuclear Decommissioning Authority, NDA)을 거점으로 해체 집중 연구기관을 설치하고 해체 연구개발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 기술의 교환을 촉진해 전문성과 경제성을 높이고 있다.
경주시는 원해연 유치로 원전 생산부터 운영, 관리 그리고 해체, 폐기에 이르기까지 원자력 관련 전주기 체계를 갖춘 세계적인 원자력 안전 생태계 클러스터를 꿈꾸고 있다.
원해연 유치야말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원전집적지인 경주의 발전 방향과 국가 원자력산업의 사회적 수용성을 가늠해 볼 시금석이다.
이용래 원해연 경주유치단장은 "경주는 원자력해체 필수기관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등 원전 관련 첨단과학 연구 인프라가 조성돼 있는 곳"이라며 "특히 국민의 원자력 안전에 대한 신뢰 확보를 위해서라도 경주에 원해연이 반드시 건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yseun@heraldcorp.com